야곱신부의 편지
사사삭거리는 숲 소리와 잔잔한 피아노 음을 배경으로
“파피 야코빌레~”라고 외치는 우체부의 목소리가
메아리처럼 울려 퍼지는 영화 는 국내에서 좀처럼 만나기 드문 핀란드의 걸작으로
나에게 깊은 묵상과 회심할 기회를 남겨준 작품이기도 하다.
소수의 등장인물과 극도로 절제된 언어 사이로 흐르는 침묵과 아름다운 영상은
마치 한 편의 기도시를 읊어주는 것 같다.
그래서인지 약 70분의 비교적 짧은 러닝타임에도 불구하고
그 숲에서 온종일 피정을 한 것 같은 여운을 남긴다.
영화는 살인죄로 종신형을 살던 레일라가 사면되어 출소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야곱신부의 비서 자리 외에 갈 곳이 없었던 그녀는 어쩔 수 없이
오래된 성당 하나만 덩그러니 남아있는 시골의 사제관을 찾아간다.
그녀에게 유일하게 맡겨진 일은 노쇠하고 눈이 먼 야곱신부에게 배달된
편지를 대신 읽어주고 답장을 써 주는 것,
그러나 세상과 신에 대한 불신으로 가득 찬 그녀에게 기도를 청하는 사연을 읽거나
그들을 위로하는 신부의 영적인 조언을 옮겨 써 주는 일이 못마땅하고 불편하기만 하다.
편지가 뜸해진 어느 날 야곱신부는 갑자기 혼인성사가 있다면서 그녀를 데리고 성당으로 가는데,
결혼식 하객을 기다리던 레일라가 본 사람은 치매증상에 오락가락하는 야곱신부뿐이다.
실망과 분노에 쌓인 그녀는 돈을 훔쳐서라도 사제관을 떠나려 하지만
정작 돌아갈 집이 없다는 것만 확인할 뿐이다.
한편 홀로 남겨진 성당에서 기도와 영성체로 자신만의 제사를 거행하고 돌아온 신부는 이렇게 말한다.
“이 모든 편지들...
난 이 일을 하느님을 위해 하는 거라 생각했어요.
하지만 그 반대였나봐요.
나 자신을 위한 일이었나 봅니다.
나를 지탱하게 하려는 주님의 방법이었던 거죠.
나를 집으로 이끄는 방법이요.”
영화의 한 장면 한 장면을 곱씹어볼수록 하느님의 침묵과 섭리를
이토록 아름답게 잘 알아들을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작품 앞에 겸허해질 뿐이다.
특히 야곱 신부의 마지막 고백은 지금도 내 안에서 조용하게 울려 퍼진다.
나도 하느님과 세상을 위한 기도와 활동에 아무리 순수하게 지향을 가다듬는다 하더라도
결국 나의 이기적인 자아 때문에 슬퍼질 때가 있는데,
이 영화를 보면서 나의 모든 활동과 삶 전체가 어차피 하느님의 손에 맡겨졌다는 사실에
큰 위로와 희망을 발견하는 기쁨을 얻었다.
그리고 어떤 일이 내 마음대로 안 풀려서 속상하거나
남보다 무언가를 더 했다는 생각에 우쭐해질 때
나는 야곱신부가 앉아있던 자작나무 숲의 바람과 햇살을 기억한다.
그리고 내 머리로는 헤아릴 수 없는 구원의 신비로 모든 것을 다시 맡겨드릴 뿐이다.
- 야곱의 우물 2012년 9월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