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의 알고리즘
1. 바꿀 수 없는 것을 바꾸려고 함. 이것을 '어리석음'이라 한다.
2. 바꿀 수 있는 것을 바꾸지 않음. 이것을 '나태함'이라 한다.
3. 바꿀 수 없는 것을 받아들임. 이것을 '평온함'이라 한다.
4. 바꿀 수 있는 것을 바꾸려고 함, 이것을 '용기'라 한다.
그리고 바꿀 수 있는 것인지 바꿀 수 없는 것인지 구별하는 것을
'지혜'라 한다.
내가 만나야 할 귀인이 어느 유형에 속하는지 알았다면 그이의 모습을 보다 구체적으로 적어보는 것도 좋다. 기독교인들이 '배 우자 기도'를 한다는 얘기를 들어봤을 것이다. 내가 원하는 배우 자 유형을 자세히 쓰고 매일 그런 배우자를 만나기를 기도하듯
'귀인 기도'를 해보자.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는 주파수가 발생하 면서 그런 귀인을 나에게로 끌어당겨줄 것이다. 또한 이렇게 머 릿속으로 내가 만나야 할 귀인의 모습을 항상 머릿속으로 그려보 면 그 귀인이 실제로 나타났을 때 그냥 스쳐 지나가는 일을 막을 수 있다.
나중에 목적지를 수정하게 되더라도 지금 한번 내가 도착하고 싶은 목적지를 정해보자. 자주 쓰는 수정이 나 다이어리가 있다면 꺼내어서 맨 뒷장을 펼치자. 깨끗한 A4 용 지도 괜찮다. 뭐든 적을 수만 있으면 된다. 밤 11시에서 새벽 1시 사이, 누구의 방해도 받지 않는 장소에 자리를 잡는다. 그리고 다음 세가지 질문에 답해보자.
첫째, 나는 3개월 후에 어떤 모습이 되고 싶은가?
둘째, 나는 1년 후에 어떤 모습이 되고 싶은가?
셋째, 나는 10년 후에 어떤 삶을 살고 싶은가?
세 가지 질문에 대한 생각이 한 번에 정리되지 않을 수 있다. 그 렇다면 순간순간 떠오르는 이미지나 아이디어를 빠짐없이 종이 에 적어본다. 적다 보면 정리가 되고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다 적었다면 우선 당신이 향할 목적지는 결정되었다. 이제 목 적지까지 빠르고 편하고 안전하게 갈 방법을 찾으면 된다. 제2장